북한산 야생화 처녀치마 탐방기
야생화 촬영을 위해 3월말 북한산을 찾았습니다. 북한산은 등산으로 잘알려진 곳으로 야생화가 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었습니다.
야생화 탐방을 위한 북한산 산행코스는 삼천사쪽에서 출발하여 삼천사계곡 - 부암동왕문 - 부황사 - 북한산성쪽으로 하산을 하였습니다.
IMG_2954P
연신내역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삼천사 입구로 갔습니다. 삼천사 입구에서 6분정도 걸으면 삼천탐방지원센터에 이르게 됩니다.
IMG_2962
삼천사는 661년 원효대사가 창건하였습니다. 예전에는 3천여명이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다고 하며 사찰이름도 이 숫자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합니다.
IMG_2974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은 보물 제 657호로 고려시대 11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IMG_2980
삼천사를 지나 계곡길을 따라 오르면 진달래가 눈에 많이 띄었습니다.
IMG_2990
부암동암문과 비봉가는 갈림길 못미쳐 우측에 그늘진 바위아래서 처녀치마를 볼 수가 있었습니다. 외관상으로는 처녀치마를 볼 수가 없습니다. 자세히 보셔야 처녀치마 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IMG_9406P
야생화 처녀치마를 서너송이 볼 수 있었으나 꽃은 보기가 쉽지않았고 긴 잎만 볼 수 있었습니다.
IMG_2985
처녀치마를 촬영후 100여미터 오르면 부암동암문과 비봉가는 갈림길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부암동암문쪽으로 향했습니다.
IMG_3002P
갈림길에서 가파른 등산로가 오르다 보면 건너편 사모바위가 보이는 고래바위를 만나게 됩니다. 고래바위 위에서 다뜻한 봄햇살을 맞으며 간단히 점심을 먹고 휴식을 취했습니다.
IMG_9452P
고래바위 위쪽 길옆으로는 노랑제비꽃이 눈에 많이 띕니다.
IMG_3024P
부왕동암문은 북한산의 나월봉과 증취봉 사이의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습니다. 숙종 37년(1711) 북한산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설치한 8개의 암문 중 하나로 성밖의 삼천사 쪽에서 성 안쪽의 중흥사에 이르는 길목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했습니다.
암문은 비상시에 병기나 식량을 반입하는 통로로 일종의 비상출입구입니다. 부암동암문에서 북쪽으로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가야 합니다.
IMG_9532
부암동암문에서 가파른길을 100m 정도 내려오다보면 경사지에 흰노루귀와 청노루귀를 볼 수가 있습니다. 이 곳에 많은 노루귀를 볼 수는 없습니다. 자세히 낙엽사이를 살펴보셔야 볼 수 있습니다.
IMG_9540
노루귀를 촬영하고 100여미터 더 내려오면 우측에 바리케이터가 쳐져 있는 곳을 만나게 됩니다. 첫 바리게이터가 있는 우측 바위에 처녀치마를 볼 수가 있습니다. 이 곳 역시 얼핏 보면 보이질 않습니다.
바위 아래쪽에 처녀치마의 파란 잎들만 길게 보였는데 바위 위에 고개를 쳐들고 있는 처녀치마 꽃이 한송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평평한 바위 위에 피어 있는 처녀치마는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
IMG_3044P
다시 길을 내려오다 보면 우측으로 부왕사지를 만나게 됩니다. 부왕사는 북한산성 내에 있는 사찰중의 하나로 숙종 37년(1711) 북한산성을 쌓을때 전국에서 승병이 동원되었는데 이 때 승병이 머문 사찰이었습니다. 지금은 무너진 석축 일부만이 확인될 뿐입니다.
IMG_9600
IMG_9610
부왕사지 터 입구에 노루귀 군락지라는 안내판도 조그많게 붙어 있습니다. 노루귀 군락지에는 출입을 금하고 있는 줄들이 쳐져 있어 촬영은 쉽지 않습니다.
IMG_3061P
부왕사지 승탑은 청하동문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바위 옆에 있습니다. 승탑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하네요
IMG_3076P
부왕사지승탑에서 조금만 더가면 대남문, 중성문으로 가는 삼거리가 있는 계곡을 만나게 됩니다. 그 계곡 우측이 처녀치마 군락지 입니다.
이 곳 바위를 중심으로 주변에 많은 처녀치마를 볼 수가 있습니다.
IMG_9642
IMG_9657
이곳 군락지는 사진에서 보는 암석 주변에 형성되어 있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한바퀴 돌았습니다. 비탈진 곳이라 촬영시 다소 주의 하셔야 합니다.
IMG_3086P
이제 중성문쪽으로 하산하면 북한산성 유원지로 하산하게 됩니다. 북한산성 입구 교차로 부근에 있는 버스정류장(북한산성입구)에서 구파발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시면 지하철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은 등산객들이 많아 야생화의 존재 여부를 반신 반의 했으나 생각외로 처녀치마를 많이 볼 수 있었고 타지역과 달리 가장 아름다운 자태를 볼 수가 있었습니다.
☞ 여행 TIP
▷출발지 : 서울 은평구 연서로 54길 33 북한산 삼천탐방지원센터
▷도착지 : 서울 은평구 대서문길 64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성분소
▷대중교통 : (출발)연신내역 702, 7211번 버스 이용 삼천사에서 하차,
(도착)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에서 704, 8772, 34번 버스 이용 구파발역 하차
- 드래곤의 사진속 세상풍경 / 이창룡 -
공감과 댓글은 더 좋은 글을 쓰게합니다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야산 야생화, 회리바람꽃, 돌단풍, 금붓꽃 등 (17) | 2020.04.21 |
---|---|
화야산 야생화 얼레지꽃 (27) | 2020.04.16 |
봄을 알리는 천마산 야생화 (23) | 2020.03.27 |
기암괴석과 바다 절경이 있는 남해 금산 보리암 (29) | 2020.03.16 |
의정부역 3.1만세 운동비와 안중근 동상 (32) | 2020.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