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89

세가지 소원 이루어주는 불암산 학도암 마애관음보살상 서울 노원구 중계동 불암산 학도암 학도암은 서울 노원구 불암산 중턱, 불암산 둘레길 주변에 있는 전통사찰입니다. 학도암은 1624년 무공(無空)스님이 불암산에 있던 옛 암자를 지금의 자리로 옮겨 창건하였다고 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창건 이후 250여년의 역사는 공백으로 남아있고, 1878년에 가서야 격운화상이 재창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재 학도암 주차장 부근 바위의 벽면에 2기의 마애부도가 있어 250년의 공백만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 외에도 학도암의 뒷편에는 1870년 명성황후가 후원하여 조성한 마애관음보살좌상이 있습니다. 이후 1885년 백운화상(碧雲和尙)이 화승(畵僧) 경선화상(慶船和尙)을 불러와 불상 1구를 개금하고 불화 6점을 그려 봉안하.. 2022. 2. 1.
환구단,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시설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시설, 환구단 환구단은 조선호텔 바로 옆에 있어 내용을 잘모르는 분들은 조선호텔에서 꾸며놓은 정원 정도로 알고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현재 환구단의 터에는 황궁우와 석고 3개가 남아있지만 환구단은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드렸던 곳으로 고종이 1897년 황제에 즉위하면서 건설하였습니다. 환구단의의 삼문은 세개의 홍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석조 계단은 궁궐의 월대를 장식하고 있는 답도와 형태가 같습니다. 삼문앞 계단은 좌측에 해태, 오른쪽에 용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삼문에 올라서서 본 황궁우의 모습을 보니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이곳에서 하늘과 종묘사직에 그 사실을 고한 고종황제의 간절한 마음이 느껴지는 듯 합니다. 1897년(광무 원년) 10월에 완공된 환구단은 당시 왕실 .. 2021. 5. 31.
백사마을, 사라질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사라질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104마을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알려진 중계본동 백사마을은 1967년 이래 도심개발로 인해 주로 청계천 철거민들의 새로운 보금자리였습니다. 주소가 중계본동 104번지라 백사마을이라 불리웁니다. 금년 3월에 SH공사가 제출한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앞두고 있어 계획대로라면 중계동 백사마을은 이제 1년후에는 백사마을의 흔적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빈집으로 남은 집들이 많은 백사마을을 둘러보았습니다. 교회건물도 빈집으로 이미 공가안내문이 붙어있었습니다. 빈집의 경우 빨간 페인트로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고 안내문이 붙어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철거가 예정되어 있어 그런지 보수를 하지않고 지붕에 타이어를 놓거나 천막으로 비새는 걸 막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거주하고 있는 집은 구공탄을.. 2021. 3. 9.
화랑대역 철도공원, 불빛정원 미디어트레인 낭만과 환상이 피어나는 밤, 노원불빛정원 미디어트레인 2019년 12월에 개장한 화랑대역 철도공원 노원불빛정원은 개장 1주년을 맞이하였으나, 코로나 19로 2달여간 문을 닫았다가 2월부터 운영을 재개했습니다. 그사이에 내부를 시간박물관으로 조성중인 무궁화호와 나란히 플랫폼 위에 가로 52m, 세로 3m의 대형 기차 모형 미디어글라스가 새로 설치되었습니다. 이름하여 새로 설치된 미디어트레인을 보기위해 화랑대철도공원을 찾았습니다. 옛 경춘선 화랑대역사 주위 철도위에 화랑대철도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일몰시간에 맞추어 조명이 들어옵니다. 2020년 가을 당현천에 전시되었던 달빛산책 일부작품이 이곳으로 이전하여 전시하고 있습니다. 저녁이 되니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과 연인들의 모습이 눈에 띕니다. 불빛 터널은 .. 2021. 3. 2.
불암산풍경 ■ 불암산 풍경 불암산은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500m의 큰 바위로된 봉우리가 중의 모자를 쓴 부처의 형상이라하여 불암산이라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불암산은 돌아가신 임금을 지키는 산이라 하여 태릉과 강릉을 비롯한 동구릉, 광릉 등 많은 왕릉이 주변에 있습니다. 불암산 등산시 볼 수 있는 주변 풍경을 소개합니다. 불암산은 상계역 부근에 있는 불암산공원에서 출발하였습니다. 불암정쪽으로 오르려면 공용 화장실 왼쪽길로 올라가면 됩니다. 불암산 공원입구에서 불암정 방향 능선을 따라 오르면 불암산의 명물 돌다방을 지나게 됩니다. 언제 만들어 놓았는지 정확히 모르지만 누군가 돌을 잘 다듬어 만들어 놓았습니다. 아마도 예전 채석장 시절에 만들어 놓은 것 같습니다. 불암산을 오르다보면.. 2021. 2. 17.
어린이, 유아 전용 수영장 '블루오션 키즈 스위밍' 노원구 월계점 어린이, 유아 전용 수영장 '블루오션 키즈 스위밍' 노원구 월계점 요즘 코로나 사태로 인해 아이들의 경우 주로 집에서 보내고 있는데요. 요즘 아이들은 어린이집도 못가고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방콕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동네 부근에 어린이 전용수영장이 생겼다하여 아이를 따라 가보았습니다. 참고로 노원구는 물론 인근 성북구 어린이수영장, 별내 어린이 수영장을 찾으신다면 가볼만한 곳으로 추천합니다. IMG_9763 찾아간 어린이 전용수영장은 노원구 월계동에 새로 개설한 '블루오션 키즈스위밍' 월계점입니다. 이 곳은 롯데캐슬 루나프라자 상가 지하1층에 있으며 지하주차장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 승용차를 이용하는 경우 편리합니다. IMG_3124P 코로나로 인해 입장하게되면 우선 손소독후 방문자 리스트를.. 2020. 4. 5.
경춘선 옛 화랑대역의 변신, 노원불빛정원 가족나들이 추천, 서울 노원불빛정원 지금은 폐역이 된 화랑대역주변 화랑대철도공원에 야간이면 불을 밝히는 노원불빛정원으로 조성하여 서울시 노원구에서는 2019.12.21 부터 시민들에게 개방을 하였습니다. 화랑대 철도공원 3만8천제곱미터부지, 약 400m 구간에 야간 경관조형물 등이 채워져있습니다. 개장후 첫주말인 12.28(토) 저녁풍경을 소개합니다. IMG_0611P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4번출구로 나오면 왼쪽으로 옛 철길이 놓여져 있어 이 철길을 따라 끝까지 가면 횡단보도를 만나게 됩니다. 길건너가 바로 노원불빛정원입니다. IMG_8554 노원불빛정원은 10개의 테마정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출발점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걷다보면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 나오게 됩니다. 입구 우측에 노원불빛정원 팜프렛이.. 2019. 12. 30.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미술관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정선미술관 겸재 정선은 1740년부터 1745년까지 양천현령(현 강서구청장)으로 있으면서 '경교명승첩', '양천팔경첩' 등 기념비 적인 불멸의 걸작을 남겼습니다. 이 같은 역사적 배경에 따라 2009년 4월 강서구에서 정선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고 지경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조선시대 양천현아지 인근에 견재정선미술관을 개관하였습니다.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란 조선후기 (1700~1850)에 유행한 우리나라 산천을 소재로 그린 산수화를 말합니다. IMG_1677 겸재정선미술관은 겸재 정선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기획전시 및 학술대회 개최,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겸재 정선 연구의 메카로 국민의 문화예술저변확대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IMG_1738P 겸재정선미술관 입구 우측에 '18.1.. 2019. 2. 27.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서울↔평창·강릉 무료 셔틀버스 운행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서울↔평창·강릉 무료 셔틀버스 운행 2018 평창동계올림픽(2.10~2.25 : 개회식(2.9) 당일 제외)과 패럴림픽(3.9~3.18) 기간 동안 서울광장과 평창·강릉 올림픽경기장을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 ‘평창e버스’를 운행됩니다. 서울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관람하기가 교통편 때문에 쉽지가 않은데 올림픽 경기 및 문화올림픽 티켓을 구입 또는 소지하셨다면 무료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평창동계올림픽 현장에 무료로 갈 수 있는 무료셔틀버스를 소개합니다. 무료 셔틀버스(31인승 최고급 우등버스)는 총 4개 노선으로, ▶서울발 강릉행(오전 9시 서울광장 출발) ▶서울발 평창행(오전 9시 30분 서울광장 출발) ▶강릉발 서울행(20시30분 안목카페거리 출발) ▶평창발 서울행(20시20분 월.. 2018. 2. 7.
벚꽃 흐드러진 서울 '남산길' 이번 주말 서울의 마지막 벚꽃명소, '남산공원길' 이번 주가 남산 벚꽃이 절정일 것 같아 오래 간만에 남산을 걸어봤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코스는 서울 후암동에서 남산을 넘어 장충동으로 내려왔습니다. 남산은 서울의 중심부에 있는 서울의 상징으로 해발 265m입니다. 조선 초 태조 이성계가 남산의 산신에게 목멱대황이란 벼슬을 내리고 제사를 지내면서 '목멱산'이란 이름으로 봉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 한양의 남쪽에 있는 주작에 해당하는 의미의 '남산'으로 자연스럽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IMG_3137P 서울 후암동 용산중학교 위에 있는 후암동 버스 종점에서 두텁바위로를 따라 서울후암초등학교 방향으로 갔습니다. 학교 아래 담벼락에는 미래도시 용산이라는 글과 한강을 그린 벽화가 있어 눈길을 끌었습니다. 서울후암.. 2017. 4. 13.
너구리도 즐기는 창경궁의 가을 너구리도 즐기는 창경궁의 가을 이번 주말 창경궁을 찾아갔습니다. 지난번에 야경을 구경하러 갔었지만 이번에는 대낮의 창경궁을 보고싶어 주말 오후를 이용해 창경궁에 들렀습니다. 창경궁의 모습은 완전한 가을풍경은 아니었지만 서서히 가을 풍경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창경궁 후원에서 만난 너구리는 창경궁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익숙한듯 개이치 않고 여유롭게 다녔습니다. 창경궁의 10월 주말 풍경을 소개합니다. IMG_9616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명정전이 눈에 보입니다. IMG_9639 명정전에 가기전 옥천교가 놓여있는데 다리 양쪽엔 해태상이 마모된 얼굴로 오고가는 사람들을 지키고 있습니다. 개천의 중앙에 초석을 놓고 그 위에 동서 양쪽으로 뻗은 2개의 홍예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I.. 2016. 10. 25.
창경궁의 밤, 고궁의 야경즐기기 고궁의 야경을 즐길 수 있는 창경궁 야간특별관람 고궁 야간개장이 '16.7.16부터 8.19까지 시작되었습니다. 경복궁 야간관람은 몇년 전에 다녀온 적이 있어 창경궁의 야경모습이 보고 싶어 이번에는 창경궁을 찾았습니다. 창경궁 뿐만 아니라 경복궁 등의 고궁야간관람은 옥션이나 인터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사전예매를 해야 하는데 경복궁의 경우 인터넷예매시작과 함께 표가 매진되어 쉽게 구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창경궁의 야간관람 표는 주말을 제외한 평일에는 표가 남아 있었습니다. IMG_6580 창경궁 야간특별관람표는 인터넷으로 예매한 후 창경궁 매표소에서 구매 본인 신분증을 제시하면 입장권을 줍니다. 오후 7시 부터 표를 발매하며 입장시간은 오후 7시 30분부터 입니다.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 2016.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