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곽체험을 위해 종로구청에서 제공한 버스를 타고 와룡공원까지 가서 와룡공원에서 부터 동쪽으로 혜화문을 거쳐 동대문(흥인지문)까지 트레킹을 하였다.
서울성곽체험은 북악산 성곽을 제외 하고는 허가없이 탐방할 수 있다. 허가를 받아야 하는 북악산 성곽탐방은 추후에 소개할 예정으로 여기서는 우선 와룡공원에서 혜화문까지를 먼저 소개한다.
서울 성곽은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어있으며 조선을 세운 태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후 전쟁을 대비하고,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도적을 방지하기 위해 쌓은 시설이다.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2년 후인 1396년에 모두 20만을 동원하여 쌓았고, 그로부터 26년 후인 세종 4년(1422)에 모두 돌로 쌓은 한편, 활과 총을 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었으며, 그 후 몇차례 보수공사가 있었다.
서울 성곽은 높이가 12m, 둘레가 약 18km으로 서울의 북악산, 인왕산, 남산, 낙산의 능선을 잇고 있는데 그 모양은 타원형에 가깝다.
서울 성곽에는 각각 동쪽과 서쪽에 흥인지문과 돈의문, 남쪽과 북쪽에 숭례문과 숙정문의 사대문을 냈으며 북동쪽과 남동쪽에 혜화문과 광희문, 북서쪽과 남서쪽에 창의문과 소의문의 사소문을 냈다.
서울의 성곽은 일제의 침략이 시작되면서 도시계획의 명목아래 허물어지기 시작하였고, 해방과 한국전쟁 혼란기에 더욱 많이 파괴되었다.
이에 서울시는 1975년 부터 종합적인 서울 성곽 복원사업을 시작하였다. 서울 성곽은 우리 선조들이 외적의 참략으로 부터 서울을 방어하기 위하여 수많은 희생을 치르면서 쌓은 귀중한 문화유산이므로 길이 보존해야할 유적이다.
성곽 구멍이 3개씩 있는데 가운데는 바로앞을 보는 근총안(近銃眼), 좌우쪽은 멀리보는 원총안(遠銃眼)이라 한다.
가까이 온 적은 근총안을 이용하여 활등으로 공격하고 원총안은 멀리있는 적을 공격하는 구멍이다.
혜화문은 도성의 동북쪽에 위치한 도성 4소문 중의 하나로 태조 5년(1396) 9월 도성의 창축과 함께 건설되었는데 이 때의 문 이름은 홍화문이었다.
그러나 성종 14년(1483)에 세운 창경궁의 동문을 홍화문이라고 명명하고 중종 6년(1511)에 여기 홍화문을 혜화문이라고 개칭하였다.
이문은 일제시대 도시계획에 의거 1928년에 헐렸던 것을 1994년 원래의 위치보다 북쪽에 복원되었다.
혜화문과 낙산쪽 성곽이 도로로 인해 끊어져 있으나 향후 혜화문과 낙산쪽으로 구름다리를 놓아 이을 계획이라 한다.
혜화문에서 낙산쪽 성곽을 계속 가고자 한다면 횡단보도가 없어 지금은 한성대 입구역 까지 내려와 역 지하통로을 이용하여 다시 건너편으로 와야 한다.
다음은 한성대입구역에서 낙산공원까지 소개 합니다.
여행 TIP
와룡공원 가는 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출구에서 종로2번 마을버스를 타고 성균관대후문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10분정도 걸어올라가야 한다.
또는 혜화역 1번 출구에서 종로 08번 마을버스를 이용 종점에서 10분정도 걸어올라야 한다.
- 드래곤의 사진속 세상풍경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종로] 600년의 서울성곽길 : 이화마을-흥인지문 (33) | 2010.10.27 |
---|---|
[서울 종로] 600년의 서울성곽길 : 혜화문 - 낙산공원 (20) | 2010.10.25 |
[서울 종로] 세종로 중앙에 조성된 '광화문 광장' (24) | 2010.10.18 |
녹진전망대에서 본 '진도대교' (30) | 2010.10.05 |
[목포여행] 유달산 노적봉 (26) | 2010.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