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109

[영월여행] 단종의 마지막 거처 '관풍헌' 단종의 마지막 거처 '영월 관풍헌' 관풍헌(觀風軒)은 영월의 객사로 조선 태조 7년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단종께서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청령포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홍수를 피해 이곳으로 거처를 옮겨 생활을 하시다가 세조3년(1457) 10월 24일 세조가 내린 사약을 마시고 승하하신 곳입니다. 또한 이곳은 조선말엽 방랑시인 김삿갓이 이곳에서 취뤄진 백일장에서 장원을 하였으나 시제에서 지탄한 선천부사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임을 알고난 후 자책과 통한을 이기지 못하여 삿갓을 쓰고 방랑길에 올랐습니다. IMG_4521 관풍헌 정문(보덕사 포교당 정문) 관풍헌 정문은 보덕사 포교당이라는 현판이 붙어있습니다. 지금은 보덕사 포교당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덕사는 장릉 동쪽 영월읍 영흥리에 위치한 장릉의 .. 2012. 10. 11.
[영월여행] 지붕없는 미술관 '영월요리골목' IMG_4511T 지붕없는 미술관 '영월요리골목' 영화 '라디오스타' 촬영지이기도한 강원도 영월읍내 '요리골목'은 과거 1960년대~80년대 채광산업이 한창이던 때 광부들이 많이 이용하던 음식점 골목입니다. 그러나 1989년 이후 석탄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면서 요리골목도 쇠퇴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쇠퇴한 요리골목에 2006년 부터 시작된 마을주민과 영월군이 함께만든 '지붕없는 미술관'은 영월과 요리골목의 역사와 의미를 담아내며 예술의 거리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이러한 요리골목이 2008년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우수상 '거리마당상'에 선정돼 새로운 명소로 부각된 곳이기도 합니다. 공공미술을 통해 살아있는 미술관으로 한국노동사의 고귀한 역사인 탄광노동자들이 삶과 애환을 그리고 현재를 살아가는 요리골목 사람.. 2012. 10. 9.
[영월여행] 고요한 한국화의 풍경 '영월 선돌' IMG_4415T 고요한 한국화의 풍경 '영월 선돌' 제천쪽에서 영월 '선돌'을 가려면 소나기재를 지나야 합니다. 유별나게 소나기가 자주 내린다 하여 붙여진이름으로 단종 유배후에는 하늘이 내리는 눈물이라고도 합니다. 높이 약 70m의 선돌은 명승지 제76호로 기암괴석의 비경으로 층암절벽과 서강의 푸른물이 어우러져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하는 곳으로 선돌 주변의 지형은 하천의 유로에 따라 거의 같은 높이의 평탄한 언덕이 연속되고 하천의 바닥을 향하여 계단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어 선돌을 둘러싸고 보여지는 마을 풍경이 평온하고 아름답기만 합니다. IMG_4404P 선돌 가는길 선돌 전망대에 오르는 길은 중간중간 나무테크시설이 되어 있어 쉽게 오를 수 있습니다. IMG_4405 전망대 IMG_4406 전망시설 아래.. 2012. 10. 7.
[강릉여행] 전국 최대의 고냉지 배추밭 '안반데기(안반덕)' 전국 최대의 고냉지 배추밭 '안반데기(안반덕)' 강원도 강릉하면 우리가 바다만 연상하는데 강릉의 안반데기는 산속에 펼쳐진 배추바다라 할 수 있습니다. 안반데기는 안반덕(더기)의 강릉 사투리 표현으로 험준한 백두대간 줄기에 떡치는 안반처럼 우묵하면서 넉넉한 지형이 있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해발 1,100m, 안반데기는 국내에서 주민이 거주하는 가장 높은 지대로 피득령을 중심으로 옥녀봉과 고루포기산을 좌,우측에 두고, 198만㎡의 농경지가 독수리 날개 모양으로 펼쳐져 있는 곳입니다. 안반데기의 배추밭 촬영을 위해 전날 오후 10시반에 강남구청앞을 출발하여 새벽 3시반쯤 안반데기에 도착했습니다. 안반데기에 도착하여 차한대만 겨우 지나갈수 있는 길을 따라 풍력기가 있는 위쪽으로 올라가니 벌써 와있는 승용차도 있.. 2012. 10. 5.
[영월여행] 자연이 만들어낸 걸작품 '영월 한반도지형' [영월 가볼만한 곳] 강원도 영월에 가면 한반도 전체를 옮겨놓은 듯 우리나라 지형을 쏙 빼닮은 곳이 있습니다. 바로 영월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입니다. 이 곳은 1박2일 촬영지로도 유명한 곳입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동쪽은 높고 서쪽은 낮은 한반도의 지형과 너무도 흡사해 놀라움을 넘어 신비로움마저 느껴집니다. IMG_4301 샛길입구(주차장) 과거 비좁았던 옛주차장 아래쪽에 새로운 주차장을 신설하여 넓고 편리해졌습니다. IMG_4303C 예전 길(서강길) 이외에도 왕복 1.6km, 소요시간 35분 정도의 거리로 샛길이 만들어져 주차장에서 언덕길 50m를 오르면 비교적 완만한 구간으로 한반도 지형전망대까지 쉽게 다녀올 수 있습니다. IMG_4304P 한반도지형 가는길(샛길) 테크로 만들어진 언덕계단을.. 2012. 10. 3.
[영월맛집] 강원도의 별미 '곤드레밥' IMG_4476T 제기억에 아마도 10년은 넘은 것 같습니다만 영월에 갔을땐 장릉옆에 보리밥집이 유명하여 거기서 먹은것이 기억이 나는데, 지금은 영월의 유명음식이 곤드레밥이라하여 곤드레밥집을 향했습니다. IMG_4497 청산회관 버스가 주차되어 있어 음식점 전경을 찍기가 어려웠습니다. 비켜달라 그럴수 도 없고.... IMG_4494P 청산회관은 2층으로 올라가는계단에 사인지들이 계단벽을 메우고 있습니다. IMG_4495P 벽에 붙어 있는 방송출연내용과 사인지 홀 벽에도 사인지로 가득합니다. IMG_4455 홀 IMG_4474 곤드레비빔밥(4인상) IMG_4468P 기본반찬 IMG_4469 된장국 IMG_4477 곤드레밥 IMG_4478 고려엉컹귀, 곤달비라고도 불리는 곤드레나물은 태백산의 해발 700m고.. 2012. 9. 27.
[삼척여행] 물과 시간이 빚어낸 신비의 '환선굴' 먼 옛날 대이리마을의 촛대바위근처에 폭포와 소(沼)가 있어 아름다운 여인이 나타나 멱을 감곤하였다. 마을사람들이 이 곳을 찾자 환선굴 부근서 천둥, 번개와 함께 바위더미가 쏟아지면서 촛대바위근처의 폭포와 소가 마르고 환선굴에서 물이 넘쳐 현재의 선녀폭포를 이루었다. 그 후 사라진 여인을 선녀가 환생한 것이라 믿어 바위가 쏟아져 나온 곳을 환선굴이라 하고 주민들은 제를 올리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였다고 한다. DSC00605p 환선굴 동굴도(오른쪽) 위 동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구간은 1.6km의 거리로 환선굴의 일부이나 소요시간은 1시간 정도이며 내부온도는 10-15도이다. DSC00606 환선굴 입구(검표소) 환선굴은 주 통로가 약 3km이고 총 연장이 8km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도 정확한 .. 2010. 5. 13.
모노레일 타고 오르는 삼척 '환선굴' [삼척여행] 환선굴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있다.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는 석회암지대로써 환선굴, 관음굴, 대금굴, 사다리바위바람굴, 양터목세굴, 덕밭세굴, 큰재세굴 등 여러 석회동굴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대이리 동굴지대라고 한다. DSC00558C2 환선굴 안내도 대이리 동굴지대의 대표적인 동굴은 환선굴과 관음굴, 대금굴이다. 환선굴과 대금굴의 매표소는 같은 장소에 있다. 여기서는 대이동굴관리소(주차장)에서 부터 환선굴 입구사이에 있는 너와집, 통방아 그리고 새로생긴 모노레일을 소개하고 환선굴은 다음편에서 소개를 한다. 너와집(중요민속자료 제221호) 주차장이 있는 대이동굴관리소 옆에는 너와집이 있는데 여기 너와집은 대이리 206번지에 현존하는 이종옥 가옥의 원형을 복원하여 관람이 가능하도록 신축한 .. 2010. 5. 12.
[삼척여행]동굴의 의미와 가치를 알려주는 '동굴신비관' 동굴은 아주 오랜 옛날에는 원시인들의 주거지였고, 스님들에게는 도를 닦는 장소로 이용되기도 했다. 전쟁이 낫을 때에는 동굴 속으로 피난하기도 하는 등, 동굴은 여러가지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 이르러 자연동굴은 관광지로서 사랑을 받고 있지만 동굴에서 자란 동굴생성물을 화학분석하면 과거의 지구환경에 영향을 주었던 기후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DSC00370 동굴신비관 전경 또한 동굴과 같은 특이한 환경에 살고 있는 생명체들은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려준다. 특히 이러한 생물들은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동굴신비관은 동굴생성과정과 동굴의 생물, 생성물을 보여주고 동굴의 보존 등을 통해 동굴의 의미와 가치를 알려준다. DSC00437 동굴신비관 입.. 2010. 5. 10.
[삼척여행] 세계7대 동굴을 한곳에, "동굴탐험관" 동굴 탐험관은 동굴탐사장비, 용암, 사암, 소금, 석고, 해식, 얼음, 석회동굴 등 7대 동굴 소개코너, 구석기 벽화코너, 용암,석회동굴 체험구간, 블랙홀, 동굴신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DSC00380 동굴탐험관 DSC00384 대석순 체험관 1층에 들어서면 대석순 모형을 제일 먼저 만난다. 그리곤 왼쪽 용암동굴 부터 탐사가 시작된다. 용암동굴 용암동굴은 지하에 있는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할 때 내부의 용암이 밖으로 빠져 나오면서 형성된 동굴이다. DSC00388 용암동굴입구 DSC00390 용암구 용암구는 용암동굴 생성시 마그마가 흐르다 장애물에 걸려 양쪽으로 흘러가면서 생기는 기형 생성물로 중심부는 기포의 발생으로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생성되어 있다. DSC00391 용암폭포 DSC00395 악마의.. 2010. 5. 9.
[삼척여행] 누각아래 기둥이 서로 다른 '죽서루' 죽서루(竹西樓) 죽서루는 조선초기 누각으로 강원도 삼척시 서쪽 오십천이 흐르는 절벽위에 세워져있으며 관동팔경의 하나이다. DSC00495 오십천위의 죽서루 사계절 모두 아름다운 죽서루 주변에는 뒤쪽에 흐르는 오십천에서 낚시도 즐길 수 있으며, 여유로움과 낭만을 느낄 수 있다. DSC00501 죽서루 입구 DSC00502 죽서루 보물 제213호인 삼척 죽서루(竹西樓)는 언제 창건되었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고려 명종때의 문인 김극기가 쓴 시가 죽서루에 남아있는 것으로 12세기 후반에는 이미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그 후 1403년(태종3) 당시 삼척부사 김효손이 고쳐지었다. DSC00503 DSC00504 죽서루 누각 기둥 죽서루는 절벽 위 자연 암반에 기초를 하여 건축되어 있는데 특이한 것은 그.. 2010. 5. 7.
[삼척여행] 바다와 함께 달리는 '해양레일바이크' 강원도 삼척에도 레일바이크가 생겼다. 운행코스는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용화리 해안선 5.4㎞ 구간이다. 철로는 복선으로 궁촌,용화 정거장 2개소와 초곡휴게소가 있어 이용객의 각종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터널 3개소와 철교 2개소가 있어 색다는 이색체험을 즐길 수 있다. DSC01524C 삼척해양레일바이크 노선도 해양 레일바이크는 2인승과 4인승으로 140대가 운행되며 현재 6월달 개장을 목표로 시험운행과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아직은 미완성중이지만 시험운행중인 해양레일바이크를 미리 타보았다. DSC00782 파도모형의 궁촌파도역 역은 궁촌역과 용화역이 있는데 궁촌역은 파도모형으로 용화역은 조개모형으로 건축되었다. 이름도 궁촌역은 궁촌파도역, 용화역은 용화조개역이다. DSC00775 대기중인 레일바이크(.. 2010. 5. 6.